분류 전체보기 231

Section 2. Transform - Rotate

GameObject의 절대적인 rotate 값을 변경해주기 위해서는 transform.eulerAngles = new Vector3(0.0f, 0.0f, 0.0f); 위와 같이 오일러앵글을 사용해줘야 한다 그런데 이 eulerAngles는 360도가 넘어갈 경우 오작동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, 값을 입력할 때 absolute value로만 입력해주고, 덧셈 뺄셈 같은 연산을 할 수는 없다 따라서 절대 회전값 말고 delta 값을 +- 해서 사용하려면 transform.Rotate() 함수를 사용해야 한다 transform.Rotate(new Vector3(0.0f, Time.deltaTime * 100.0f, 0.0f)); 이렇게 인자로 회전시킬 값을 넣어주면 y축 기준으로 Time.deltaTime *..

Section 2. Transform - Vector3

Vector의 두 가지 쓰임새 1. 위치 벡터 2. 방향 벡터 void Start() { Vector3 to = new Vector3(10.0f, 0.0f, 0.0f); Vector3 from = new Vector3(5.0f, 0.0f, 0.0f); Vector3 dir = to - from; // (5.0f, 0.0f, 0.0f); } 위와 같이 목적지의 위치 벡터에서 출발지의 위치 벡터를 빼주면 출발지 -> 목적지로 향하는 방향 벡터가 나오게 된다 방향 벡터로 구할 수 있는 값 1. 거리(크기) 2. 실제 방향 magnitude 함수를 사용하면 거리(크기)를 구할 수 있고, normalized 함수를 사용하면 방향(크기 1짜리)를 구할 수 있다

Section 2. Transform - Position(WASD로 플레이어 움직이기)

void Update() { if (Input.GetKey(KeyCode.W)) transform.position += Vector3.forward * Time.deltaTime * _speed; if (Input.GetKey(KeyCode.S)) transform.position += Vector3.back * Time.deltaTime * _speed; if (Input.GetKey(KeyCode.A)) transform.position += Vector3.left * Time.deltaTime * _speed; if (Input.GetKey(KeyCode.D)) transform.position += Vector3.right * Time.deltaTime * _speed; } 요약: WASD 키로 ..

Section 1. 유니티 기초 - 매니저 만들기, 싱글톤 패턴

* C# Script 생성 시에는 컴포넌트 용도로 쓸 파일과 일반적인 스크립트 파일을 구분할 것 static Managers s_instance; public static Managers Instance { get { Init(); return s_instance; } } void Start() { Init(); } static void Init() { if (s_instance == null) { GameObject go = GameObject.Find("@Managers"); if (go == null) { go = new GameObject { name = "@Managers" }; go.AddComponent(); } DontDestoryOnLoad(go); s_instance = go.GetCo..

[Unity] SerializeField/public 선언해둔 변수 인스펙터 창 초기화

SerializeField로 선언해 둔 Theme에 코드 상에서 새로운 Element를 추가해도 제대로 반영이 되질 않았음... 인스펙터 창에서 한 번 값을 변경하면 코드에서 수정해도 반영이 안 된다고 한다 간단하게는 그냥 스크립트에 우클릭 > Reset 해주면 적용이 된다 Game Manager의 경우 프리팹으로 만들어뒀기 때문에 프리팹에 들어가서 초기화시켜주면 된다

[Unity] UI 클릭 제외하기

if (Input.GetTouch(0).phase == TouchPhase.Began) { if (EventSystem.current.IsPointerOverGameObject(0) { return; } SceneManager.LoadScene("Game"); } 첫번째 터치가 eventsystem 위(UI 위)에 있으면 return 함으로써 UI 터치 시 Game이 시작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IsPointerOverGameObject는 int 파라미터가 필요한데, PC나 유니티 상에서의 터치는 -1, 휴대폰 상에서의 터치는 0으로 처리한다

[Unity] 스크롤뷰 만들기

Hierarchy 뷰에서 우클릭 UI > Scroll View로 스크롤뷰 오브젝트를 생성해준다 이번엔 스크롤바를 쓰진 않을 것이기 때문에 함께 생성되는 스크롤바 2종류는 그냥 삭제해도 무방하다 Scroll View의 Scroll Rect 컴포넌트에서 몇 가지 조절을 해준다 Horizontal / Vertical 체크박스: 가로 / 세로 스크롤이 가능하게 할 것인지 여부 Movement Type - Unrestricted: 범위를 벗어나면 벗어나는 대로 스크롤된 상태를 그냥 유지함 - Elastic: 범위를 벗어나면 다시 범위 내로 돌아감(탄성 有, Elasticity는 이 탄성력을 조절하는 변수) - Clamped: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게 스크롤이 막힘 그리고 Content 오브젝트에 정렬 컴포넌트가 필..

[Unity] UI 요소 제외하고 클릭 이벤트 감지하기

https://docs.unity3d.com/kr/530/ScriptReference/EventSystems.EventSystem.IsPointerOverGameObject.html EventSystems.EventSystem-IsPointerOverGameObject - Unity 스크립팅 API Is the pointer with the given ID over an EventSystem object? docs.unity3d.com 유니티 공식 문서 if(Input.GetMouseButtonDown(0) && !EventSystem.current.IsPointerOverGameObject()) { SceneManager.LoadScene("Game"); } * GetMouseButtonDown은 터치..